세상이 좋아져 편의점에서 택배를 주고받을 수도 있습니다. 물론 편의점까지 가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지만 어드 동네든 하나씩 있는 것이 편의점이니 그렇게 크게 불편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물론 거주지에서 가까운 편의점으로 보내야 좋겠지만요. 오늘은 CU편의점 택배 조회 하는 방법과 운송장이 무엇인지, 또 운송장 번호를 확인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봅시다.
cu편의점 택배조회 하는 법
1. 운송장 번호 확인
운송장(=송장)이란 내가 보낸 택배에 붙는 고유번호입니다. 이 번호로 택배가 어딨는지 추적 가능하기 때문에, 운송장을 꼭 갖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받는 사람에게 이 운송장 번호를 알려줘야 합니다.
운송장은 CU편의점에서 택배 접수 하면 기계에서 종이가 한 장 자동으로 나오는데요. 바로 이것입니다.

스티커 형태로 되어 있는 이 종이는, 파란쪽은 떼서 박스에 붙이고, 빨간쪽은 내가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영수증이 아니니 버리더라도 사진을 찍어 놓고 버리시기 바랍니다.

2. CU편의점 택배 위치 조회
택배를 보낸 후 어디쯤 갔나 궁금하다면, 검색창에 “씨유택배조회”라고 치면 바로 관련 창이 뜹니다. 운송장 입력칸에 운송장 번호를 입력하면 어디쯤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3. CU편의점 택배 위험성
다만 CU편의점 택배는 오배송의 위험도 있습니다. 모든 택배는 잘못 보내질 위험이 있는데요, 그나마 우체국 택배가 가장 확실하고 안전합니다.
CU편의점 택배는 CU가 직접 배달하는 것이 아니라, 대한통운 물류회사와 연계되어 그쪽에 인계하기 때문에, 인계과정에서 실수나 누락이 있을 시 전혀 엉뚱한데로 보내질 수 있습니다.
그러면 다시 주소지 확인하고 보내는 데 시간이 굉장히 많이 소요됩니다. 일례로 아래 CU택배 조회 내역을 보면, 22년 3월 19일에 보냈는데 부천에 잘못 도착하는 바람에 다시 배송되어 3월 29일에나 원하는 곳 창고에 도착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이 창고에서 편의점까지 보내지는데 또 시일이 걸릴테니 받는데 10일 이상 걸린 셈입니다. 편의점 택배에는 이런 위험성도 있음을 알고 계시기 바랍니다.
cu편의점 택배 가격
편의점 택배 가격은 물품의 무게와 배송 거리에 따라 달라집니다.
1. CU편의점 국내 택배 가격
일반적으로 국내로 보내는 택배 가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로 제주도 CU편의점 택배는 제주도 안 에서만 보낼 수 있습니다. 내륙으로는 못 보냅니다.

2. CU알뜰택배 가격
cu알뜰택배란 일반 택배는 대한통운에 연계해 거기서 배송하는데요, cu에서 자체적으로 맡아 배송하는 것을 알뜰택배라고 합니다. 편의점에서 직접 하는 만큼 가격이 저렴하지만, 제품 무게 제한이 있어 5kg이 넘는 것은 보낼 수 없습니다.

3. CU편의점 해외 택배 가격
CU편의점에서 해외 배송도 가능하다는 사실 알고계셨나요? 물론 CU가 자체 배달하는 것은 아니고, DHL과 연계해서 보내는 것인데요. 그래서 그런지 요금제는 DHL 가격과 비슷합니다.
- 서류 – 500g 에 37,300원
- 물품 – 500g 에 53,300원
가장 가까운 지역 기준으로 이 정도입니다. 원래 DHL 운송료가 좀 비싼 편입니다. 대신 안전하고 확실하게 잘 갑니다.
참고로 cu편의점을 통해 외국으로 택배를 보냈다 해도, 배송조회 방법은 같습니다. 검색창에 씨유택배조회를 검색해 운송장 번호를 입력하면 됩니다.
이상으로 cu편의점 택배 배송조회 하는 법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로독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