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커피 3잔 마시고 카페인 쇼크로 사망한 미국인 고등학생의 기사를 읽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저도 커피를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흠칫했는데요. 정말 커피 3잔 마셨다고 쇼크로 죽을 수 있는 것일까요?
이것 저것 찾아보니 카페인 쇼크는 진짜 죽을 정도로 고농도의 카페인을 마셔서 나타나는 증상도 맞지만, 평소 카페인으로 인해 일어나는 여러가지 몸의 부작용도 카페인 쇼크라고 한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즉 우리가 일상생활에서도 자주 겪는 커피 부작용이 카페인 쇼크 입니다.
보통사람은 조금 불편하고 마는 정도지만, 유독 카페인에 민감하다거나, 심장이 약하다면 조금만 정량이 넘는 양을 먹어도 심한 두근거림을 느낍니다. 어릴 대 부모님이 잘 관찰하여 카페인을 먹지 못하게 교육시킨다면 괜찮지만, 모르고 살다가 그냥 장난삼아 원샷 때리면 그대로 쓰러져 버리는 것이죠.
카페인 쇼크 증상과 원인, 대처법
카페인 쇼크 증상
카페인 쇼크는 일반적으로 카페인 부작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쇼크라고 하니 좀 어감이 세게 느껴지는데요, 주변에 커피만 먹으면 두근거리거나 잠이 안 온다고 하는 사람이 있을 겁니다. 이들이 겪는 증상이 카페인 쇼크 중 일부입니다.
- 뭔가 각성한 듯한 느낌
- 불안하고 가만히 앉아있을 수가 없음
- 체온 상승
- 탈수
- 두통
- 숨소리가 거칠어짐
- 급격한 심박수 증가
- 심박수가 점점 빨라지면서 불규칙하게 뜀
- 불안정한 기분
- 토함
- 혼란스러운 느낌
- 패닉, 공황발작
보통사람들은 첫번째 각성한 듯한 느낌을 위해 카페인을 섭취합니다. 야근으로 밤을 새야 할 때 많이 마시는데요. 너무 많이 먹으면 탈수와 두통, 가만히 앉아있을 수 없는 증세가 나타나죠. 건강한 사람은 보통 이 정도로 멈추고, 집에서 휴식하면 몸이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문제는 카페인에 예민한 사람이나 선천적으로 심장이 좋지 않은 사람입니다. 이런 사람은 소량의 커피만 마셔도 심한 두근거림을 느끼며, 다량으로 마시면 급성 부정맥으로 사망할 수 있습니다.
카페인 쇼크 원인
단시간에 많은 카페인을 마셔서
카페인 쇼크는 단시간에 많은 카페인을 한꺼번에 마시면 나타납니다. 카페인 쇼크로 사망한 10대 학생도 3가지 카페인 음료를 짧은 시간 내에 마셔 증상이 나타났습니다. 물론 10대 소년이 3가지 음료수를 마셨다고 사망한 것은 이례적입니다만, 청소년은 성인보다 몸이 작아 적정 섭취량이 더 적습니다. 그래도 특이한 사례인 것은 맞지만요.
선천적으로 카페인에 민감해서
카페인은 체내에 들어가면 교감신경을 자극해 혈관을 넓히고 혈류량을 빠르게 만듭니다. 그래서 심장 두근거림, 두통을 유발하는데요. 선천적으로 카페인에 민감한 사람은 조금만 마셔도 이 현상이 급작스럽게 일어나면서 부작용을 겪을 수 있습니다.
얼마나 먹어야 카페인 쇼크가 일어나나
성인기준 일일 카페인 권장량은 400mg 입니다. 400mg 카페인은 일반 머그컵으로 4컵 정도의 커피입니다. 권장량이라고 하기에는 좀 많아보이는데요. 스타벅스 short컵으로 하루 3컵, 그란데 사이즈로는 2컵 정도가 일일 정량입니다.
이 이상 마신다면 정상인이여도 카페인 쇼크을 겪을 수 있습니다. 물론 죽을 정도로는 아니겠지만… 울렁거리고 토하는 느낌이 좋을 리가 없으니 의식적으로 자제하도록 합시다.
카페인 쇼크 치료법
물 많이 마시기
커피를 마실 때, 혹은 카페인이 들어간 음료를 마실 때 물도 같이 많이 마시면 카페인을 희석시켜 쇼크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만약 내가 먹는 음료에 카페인이니 있는지 일일이 확인하기 어렵다면 그냥 평소에 물을 많이 마시는 습관을 들입시다.
이온음료 마시기
커피를 마셨는데 배가 아프거나 미슥거림이 느껴진다면, 몸에서 수분과 함께 전해질도 빠져나가고 있다는 뜻입니다. 물 뿐만 아니라 이온음료도 마셔 전해질을 보충합시다. 그러면 들끓던 속이 가라앉을 것입니다.
커피 끊기
카페인 쇼크를 예방(치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냥 커피를 안 마시는 것입니다. 젊었을 때 커피를 달고 살다가도 나이를 먹으면 이상하게 커피만 마시면 속이 안 좋고 머리가 아파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그냥 먹지 맙시다. 신기하게도 안 먹겠다고 마음먹으면 먹고싶은 마음도 사라집니다.
기타 카페인 함유 음료, 음식 안 먹기
커피에만 카페인이 들어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일상 속에 먹는 차와 음료수에도 카페인이 들어 있습니다. 대표적인 카페인 함유 음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 녹차
- 홍차
- 보이차
- 마테차
- 초코우유(초콜릿)
- 레드불
- 몬스터
- 사이다, 콜라 등 탄산음료
- 에너지 바
녹차 홍차에 카페인이 있다는 건 많이 알려진 사실이고… 마테차와 보이차에도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초콜렛도 소량 들어 있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인 이온음료나 게토레이 등에는 카페인이 없지만, 힘이 나게 하거나 잠 깨게 하는 에너지 드링크에는 카페인이 꽤 함유되어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에너지 바를 식사 대용으로 드시는 분들도 있는데요. 에너지 바에도 30~50mg의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으니 카페인에 민감한 분들은 주의해야 하겠습니다.
위는 카페인이 함유된 식품 리스트입니다. 카푸치노와 에스프레소에 가장 많네요. 블랙티(홍차)에도 만만치 않게 들어가 있습니다. 초콜렛이나 콜라에는 적게 들어 있지만 어린이에게는 많을 수 있기 때문에 너무 많이 먹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겠네요.
카페인 쇼크 증상과 원인, 치료법 정리
카페인 쇼크란 단기간에 카페인을 너무 많이 섭취해 부정맥, 두통, 미슥거림, 구토, 불면증 등의 부작용을 겪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의 경우 커피를 안 마시고 쉬면 사라지지만, 선천적으로 카페인에 민감하거나, 어린이, 청소년이 갑자기 다량 섭취한 경우 심장 부정맥으로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카페인 쇼크의 치료는 카페인을 섭취하지 않으면 자연스럽게 괜찮아지며, 카페인의 각성성분에 의지하지 않으려는 노력이 조금은 필요합니다. 또한 어쩔 수 없이 커피가 필요하다면 물을 같이 많이 마셔 카페인을 희석해 섭취해야 합니다.
또한 커피 외에도 다른 음료수와 음식에 카페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홍차, 녹차, 초콜릿, 에너지 드링크가 대표적이니 이런 음식을 먹었다면 의도적으로 커피를 자제해야 카페인 쇼크에 시달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