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아기 낳으면 정부로부터 이런 저런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소득에 따라 나누어서 지원했는데 이제는 그마저도 없어졌습니다. 아기 한 명을 낳았을 때 정부로부터 얼마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을지 알아봅시다.
아기 낳으면 지원금 최소 3500만원, 지원금 종류
1. 첫만남이용권
1) 첫만남이용권 지원 대상
첫만남이용권 지원 대상은 대한민국에서 출생하여 주민등록번호를 정상적으로 부여받은 신생아 전원입니다. 첫째아이 한 명만 낳아도 200만원의 지원금을 정부로부터 받을 수 있습니다. 아기 낳으면 받는 지원금 중 액수가 가장 높습니다.
2) 첫만남이용권 지원 금액
(2024년 1월 1일 출생 아동일 시 지원 금액)
- 첫째 아이 : 200만원
- 둘째 아이 : 300만원
- 셋째 아이 : 300만원
- 쌍둥이 : 첫 쌍둥이인 경우 400만원
- 둘째 셋째가 쌍둥이인 경우 : 600만원 (300+300)
3) 첫만남이용권 신청 방법
국민행복카드 발급 → 거주지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방문 및 신청 → 10일 후 들어옴
시중 은행에서 ‘국민행복카드’를 미리 발급 받아야 합니다. 보통 임신했을 때 많이 해두는데요. 국민행복카드 먼저 발급 받은 후, 첫만남이용권을 신청해야 내 국민행복카드로 돈이 들어옵니다. 시중에 알려진 은행 대부분이 이 국민행복카드를 발급하고 있습니다.
IBK 기업은행 | NH농협은행 | 경남은행 |
광주은행 | 대구은행 | 부산은행 |
수협은행 | 우리은행 | 제주은행 |
우체국 | 하나은행 | 신협은행 |
삼성카드 | 롯데카드 | KB국민카드 |
신한은행 |
국민행복카드를 발급 받은 후, 행정복지센터에 출생신고를 하러 가면서 같이 신청합시다. 출생 신고 하러 왔다고 하면 담당자가 알아서 신청해 줄 수도 있습니다.
4) 첫만남이용권 언제 들어오나
- 주말 포함 5~10일
- 들어오면 카톡 알림이 온다
5) 첫만남이용권 사용기한
- 받은 날부터 1년
6) 첫만남이용권 사용방법 및 사용처
첫만남이용권 사용처는 ‘금지 사용처’를 제외하고 모두 쓸 수 있습니다. 보통 아이 양육에 필요한 옷이나 식료품 전반에 씁니다.
첫만남이용권 사용 제한된 업체(업종)는 다음과 같습니다.
- 유흥업소
- 사행성 마사지
- 사우나
- 레져업종
- 면세점
주변 사례를 찾아보니 첫만남이용권을 사용해 구매한 물품들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 산후조리원 비용
- 도우미 고용
- 아기 유모차, 아기 침대
- 분유, 아기용품
- 배달음식
- 기타 생활비
7) 첫만남이용권 잔액 조회 하는 법
- 삼성카드, 롯데카드 : 문자나 카톡으로 알려줌
- 은행에서 발급받은 카드 : 은행 어플에서 확인 가능
2. 부모수당(부모급여)
부모수당은 아기 낳으면 받는 지원금 중 하나입니다. 부모급여라고도 불립니다. 태어난 달 부터 2살이 될때까지 매달 현금으로 꽂아주니 정말 좋은 제도라 할 수 있겠습니다.
1) 부모수당(부모급여) 지원 대상
- 2024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만 2세 미만 아동 (0개월 ~ 23개월)
-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니고 있지 않아야 함
2) 부모수당(부모급여) 지원 금액
0개월~11개월 | 매월 100만원 |
12개월~23개월 | 매월 50만원 |
총액 | 1700만원 |
3) 부모수당(부모급여) 신청 방법
- 출산 후 60일 이내에 신청해야 함
- 거주지 행정복지센터에 직접 방문해 신청
- 복지로 사이트에서 온라인 신청
- 영아수당과 중복 신청 불가능
부모 수당 또한 아이 출생신고를 하러 가면서 같이 하면 되겠습니다.
4) 부모수당(부모급여) 사용방법 및 사용처
부모수당은 해당 부모 혹은 아이의 계좌로 매달 25일 현금으로 바로 입금됩니다. 단, 가정교육을 해야지만 현금으로 받을 수 있고, 어린이집을 보낼 경우 보육료로 전환 신청해야 합니다.
현금으로 받은 부모 수당은 생활에 필요한 곳에 적절히 쓰면 되겠습니다.
3. 양육수당
1) 양육수당 지원 대상
- 24개월 이상 86개월 미만
- 24개월 이전 까지는 부모수당으로 충당
- 부모수당이 끝난 이후부터 양육수단으로 받으면 된다
- 86개월, 즉 초등학교 입학하는 년도의 2월 까지 받을 수 있음
2) 양육수당 지원 금액
- 아이 1명 당 10만원
- 농어촌 아이일 경우 35개월 까지는 16만 5천원, 47개월 까지는 12만 6천원
3) 양육수당 신청 방법
-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
4) 양육수당 사용방법 및 사용처
- 생일 지난 이후 달 25일에 통장으로 현금 입금
4. 아동수당
1) 아동수당 지원 대상
- 만8세 미만의 아동 (0개월 ~ 96개월) 전원
- 출생신고 하면서 같이 신청
2) 아동수당 지원 금액
- 1아동 당 10만원
- 매월 25일 현금 지급
3) 아동수단 신청 방법
- 거주지 관할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 복지로에서 온라인 신청
4) 아동수당 사용방법 및 사용처
아동수당은 현금으로 들어오는 것이므로 자유롭게 사용하면 됩니다. 실제 엄마들을 보면 보통 기저귀나 분윳값, 혹은 여유가 되면 아이 통장에 저금해주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5. 산후조리원 비용지원금
산후조리원 비용지원금은 출산한 산모에게 산후조리 비용으로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금액입니다. 금액은 지역마다 상이한데요. 서울이 100만원, 경기도권이 50만원 선 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거주지 관할 행정복지센터에 문의하셔야 하겠습니다.
1) 산후조리원 비용지원금 신청대상
- 서울시 기준 서울에 6개월 이상 거주한 산모
- 경기도 기준 경기도에 1년 이상 거주한 산모
- 산후조리원 지원금을 안 주는 지자체도 있다
- 출산 후 60일 이내 신청해야 함
- 이 또한 출생신고 때 하면 좋다
2) 산후조리원 비용지원금 금액
- 서울 : 아이 1인당 100만원 (쌍둥이일 경우 배수로 지급)
- 경기권 : 아이 1인당 50만원 (쌍둥이일 경우 배수로 지급)
- 각 지역마다 상이(20만원 인 곳도 있음)
- 지역화폐 카드에 넣어 줌
3) 산후조리원 비용지원금 신청방법
- 서울 거주 임산부인 경우 : 서울맘케어시스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
- 서울 외 지역 임산부인 경우 : 관할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에 방문 신청
4) 산후조리원 비용지원금 사용방법 및 사용처
- 지역화폐카드에 넣어 줌
- 즉 지역화페카드 신청이 선행되어야 함
- 출생 신고 하고 2일 정도 후에 들어옴
- 산후조리원, 마사지 등에 자유롭게 사용
이렇게 아기 낳으면 지원금을 얼마나 주는 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자료를 찾다 보니 서울시에서 지원해주는 금액이 가장 많고 다양했고, 그 다음이 경기권, 그 다음이 그 외 지역 순이었습니다.
위의 지원금을 다 더해 보니, 아이 1명만 낳아도 정부로부터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이 도합 3580만원 이더라고요. 초등학교 입학 전까지 받을 수 있는 금액입니다.
저출산을 막고자 정부에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것 같습니다. 세부 금액은 거주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정확한 금액은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셔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아기 낳으면 지원금 받은 내용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