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소 함량 1450ppm 뜻, 높을 수록 뭐가 좋은가


불소는 자연에서 발견되는 미네랄로, 영어로는 플루오라이드(Fluoride) 라고 합니다. 프랑스 화학자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미국의 치과의사 프레더릭 맥케이에 의해 치아에 좋다는 것이 발견되었습니다.

불소-함량-1450ppm-칫솔과-치아모형



불소 함량 1450ppm 뜻, 높을 수록 뭐가 좋은가

1. 치약 불소 함량 뜻

불소는 1901년 미국 치과의사에 의해 치아 건강에 탁월한 효과 있다는 것이 밝혀진 이후, 상업용 치약에 꾸준이 들어가 충치 예방을 도와주고 있습니다. 세계 보건기구인 WHO와 미국 치과협회 ADA에서도 불소의 효과를 인정하며 불소가 함유된 치약을 사용하기를 권하고 있습니다.

불소 치약은 특히 1000~1450ppm 대에서 가장 효과적인 충치 예방률을 보였습니다. 그래서 상업용 치약은 거의 대부분 1450ppm의 불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를 겉면에 표기하는 것이지요.



2. 불소 함량별 효과

불소 농도에 따라 충치 치료 효과가 다릅니다.

함량대상효과
500~1000ppm6세 미만 어린이초기 충치 예방, 치아 보호
1000~1100ppm어린이/성인 치약충치 예방
1450ppm성인용 치약 (권장 표준)충치 예방 효과 강화, 법랑질 보호
1500ppm 이상특수 치약 (처방필요)심한 충치 예방, 전문가용

6세 미만 어린이는 1000ppm 이하의 치약을 사용하길 권합니다.

불소 1450ppm 치약은 일반적인 성인용 치약에 들어있는 불소 함량이며, 평소 충치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불소 1500ppm은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며 일반 치약에는 들어있지 않습니다.

이-닦는-어린이



3. 불소가 치아 건강에 좋은 이유

법랑질을 강화하여 충치 예방

치아의 바깥층은 법랑질(애나멜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불소가 여기에 닿으면 더욱 딱딱해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단단한 치아는 산에 더 강해져 부식되지 않죠. 이렇게 치아가 튼튼해 지는 것입니다.

충치균의 산 생성 억제

충치균은 이빨에 낀 음식물을 먹으며 산성을 생산하는데요. 이 산성이 치아에 닿아 부식시킵니다. 불소는 박테리아의 대사 활동을 억제하여 산 생성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치아의 재석회화

치아도 자가회복이 가능하다는 것, 알고 계신가요? 충치가 생긴 아주아주 초반에는 재석회화(미네랄이 보충되는 과정)을 통해 회복될 수 있습니다. 불소는 칼륨과 인을 끌어와 치아 표면을 다시 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4. 불소 치약은 물로 헹구는 것이 아니다?

보통 우리는 이를 닦은 후 물로 시원하게 헹궈내는데요, 사실 이는 불소의 효과를 반감시키는 행동입니다. 불소 치약으로 이를 닦았다면 헹구지 말고 그대로 놔두는 것이 더 좋습니다. 이유는 치아에 불소가 계속 남아있어야 충치 예방 효과가 더 크고, 치아의 재석회화를 더 오래 도와 딱딱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사실 이건 나라별로 의견이 다른데요, 영국의 경우 불소 치약을 물로 헹구지 말 것을 권장하며, 세계치과연맹 또한 닦은 후 헹구지 말기를 권합니다. 미국치과협회는 불소치약을 닦은 후 아주 가볍게 물로 헹굴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정서상 좀 찝찝하죠. 게다가 혀까지 박박 닦았다면 더욱 물이 절실한데요.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치약을 쓰고 있는 한국인이라면 그냥 사회 통념을 따릅시다. 다만 외국에 가면, 치약에 ‘물로 헹구지 마세요’ 라고 쓰여있는 치약이 따로 있습니다. 이런 치약을 쓸 때만 참고합시다.


5. 어린이 치약 삼키면 안 되는 이유

어린이 치약은 딸기맛, 포도맛 등 다양한 맛이 나는데요, 닦다가 맛있다고 냉큼 삼키는 애들이 있습니다. 저도 어릴 땐 그랬어요.

하지만 이건 아이의 건강을 심히 해칠수도 있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치아 생성 방해

8세 이하의 어린이는 영구치가 잇몸 속에서 생성되는 과정을 거치는데요. 이 때 과도한 불소를 섭취하면(먹으면) 이 영구치가 약하게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치아에 반점이 생기고 심하면 바스라집니다.


위장 장애

불소는 잘못하면 구토, 복통 같은 위장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불소를 삼키는 것을 방지하려면, 치약 사용량을 조절하면 됩니다.

  • 3세 이하 : 쌀알 만큼만 짜서 사용하기
  • 3~6세 : 치약을 완두콩 크기로만 짜기
  • 3세 이하 어린이는 1000ppm 이하 불소 치약만 사용하기
  • 양치 후 반드시 뱉도록 지도하기



불소 함량 1455ppm 뜻 정리

치약에 써 있는 불소 1455ppm 은 불소 함량을 의미하는 것이며, 1455ppm은 성인 치약의 평균 함유량입니다. 어린이 치약일수록 함유량이 낮으며, 3세 이하용 치약은 1000ppm 이하를 써야 합니다.

불소는 세균 번식을 억제하고 치아를 딱딱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으며, 치아 자가수복을 돕는 역할도 하는 아주 중요한 성분입니다.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이 불소를 치아에 최대한 오래 놔두기 위해 이를 닦은 후 물로 헹구지 말라고 하는데요, 유럽에는 물로 헹구지 말라는 문구가 써 있는 치약이 따로 있습니다. 한국에서 산다면 헹궈도 되고, 안 헹궈도 상관은 없습니다. 본인이 찝찝하지 않는다면…

치실 안 들어갈 때 어떡해야 하나 해결법 3가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