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압성 요실금이란 배의 압력이 높아지면, 즉 배에 힘이 가해지는 상황이 오면 방광이 수축해 소변이 나오는 것을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배에 힘이 가해지는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재채기 할 때
- 무거운 것을 들 때
- 계단을 오르내릴 때
- 크게 웃을 때
- 줄넘기 할 때
평상시 방광 근육이 정상이라면 배에 힘을 준다 해도 소변이 나오는 경우는 없습니다. 하지만 근육이 약해지거나 하복부쪽 염증이 생기는 등의 이유로 조금만 힘을 가해도 의지와 상관없이 소변이 쭉 나오게 됩니다.
기침 했는데 소변이 나오는 이유
1. 방광 근육이 얇아져서
소변을 오래 참는 습관이 있다면 당장 고쳐야 하겠습니다. 방광은 소변 양에 따라 유연하게 늘어날 수 있지만, 소변을 너무 오래 참아 늘어난 채로 오래 있게 되면 방광 근육이 얇아집니다.
그렇게 되면 복압이 약간만 올라가도 요도관이 열려 소변이 새게 됩니다.
2. 골반 지지조직이 약화 되어서
골반에는 하반신의 장기를 지탱하기 위한 여러가지 조직이 있습니다. 근육, 인대, 근막 등이 그것인데요. 노화나 무리한 힘의 사용으로 인해 이런 조직들이 약해집니다.
특히 여성의 경우 자연 분만으로 인해 골반 지지조직이 약화되는데요. 방광을 지탱하는 근육이 약화되면 조이는 힘이 약해져 기침만 해도 소변이 나옵니다.
남성에 비해 여성이 요실금이 더 많은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골반 지지조직 약화가 심해지면, 대장과 소장을 지탱하는 힘도 약해져 내장이 밑으로 쳐지게 됩니다. 방치하면 질을 통해 내장의 일부가 돌출될 수도 있습니다.
3. 요도 괄약근 약화
우리 몸에 뭔가 역류하거나 새지 않게 조여주는 근육을 괄약근이라고 합니다. 항문 괄약근을 주로 알고 있는데요. 항문 뿐만 아니라 식도와 위를 연결하는 부위에도 괄약근이 있습니다. 위로 들어간 음식물이 식도로 넘어오지 않게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소변이 새지 않도록 해 주는 요도 괄약근도 있습니다. 그런데 근육 손상으로 이 요도 괄약근이 약화되면 작은 압력에도 소변이 새어 나옵니다.
복압성 요실금 치료법
복압성 요실금 치료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운동 그리고 수술인데요. 심하지 않다면 운동으로도 증세가 나아지지만 심한 경우 수술을 해야 합니다.
1. 복압성 요실금 치료법 – 케겔운동
케겔운동은 가만히 있는 상태에서 항문을 조였다 풀었다 하는 운동입니다. 괄약근 운동이죠… 뭔가 웃기게 들리지만 케겔운동을 하루에 100번 하면 신선이 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몸에 좋은 운동입니다.
케겔운동은 배변, 배뇨를 담당하는 근육을 강화시키고 요도의 조절능력을 강화시킵니다. 노화로 인해 근육이 약화되어 원치않게 민망한 상황을 막는데 필수입니다.
2. 복압성 요실금 치료법 – 수술적 치료
운동으로 치료할 수 없는 복압성 요실금이라면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 복압성 요실금 수술 하는 법은 의료용 테이프를 근육 사이로 통과시켜 요도 중간을 받쳐주는 것입니다.
그러면 복압이 높아져 소변이 배출되려 하다가도 중간의 테이프에 걸려 나오지 않습니다.
만약 수술을 받았는데도 요실금이 계속된다면, 조절 장치를 몸에 심어야 합니다. 같은 방법으로 테이프를 걸어 준 뒤 테이프 끝에 조절장치를 달아 아랫배에 심습니다. 조절기 끝에는 나사 같은 것이 달려 있는데요. 이 나사를 손으로 돌리면 소변이 나오고 반대로 돌려 조이면 소변이 나오지 않습니다.
복압설 요실금에 안 좋은 음식
1. 커피
커피를 마시면 이뇨작용이 심해져 더 자주 소변이 마렵다는 것, 알고 계시죠? 요실금으로 고통받는데 구태여 소변량을 늘릴 필요가 없습니다. 커피 말고도 카페인이 들어간 음식은 자제합시다.
2. 매운 음식
매운 음식은 기침을 유발하기 때문에 복압성 요실금에 좋지 않습니다. 싱겁게 먹읍시다.
3. 알코올
알코올은 빈뇨를 유발합니다. 술 많이 마시면 화장실이 자주 마렵죠? 요실금이 나을 때 까지는 금주합시다.
4. 초콜릿 같은 설탕이 많이 들어간 음식
설탕은 방광을 자극해 소변을 많이 보게 합니다. 초콜릿, 사탕 및 단 음식은 자제합시다.
5. 담배
담배는 음식이 아니지만, 기침을 유발하므로 복압성 요실금에 좋지 않습니다.
복압성 요실금 정리

이렇게 기침만 했는데 소변이 나오는 복압성 요실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복압성 요실금은 복압이 높아지는 행동을 했을 때 약해진 골반 지지근육이 방광과 요도를 제대로 조이지 못해 소변이 새어나오는 질환입니다.
이것을 치료하려면 케겔운동으로 괄약근의 힘을 늘리고, 심한 경우 수술을 해야 하겠습니다. 또한 기침을 많이 유발시키는 매운음식이나 흡연은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빈뇨를 유발하는 커피나 카페인 음료, 단 음식, 그리고 술도 줄여야 하겠습니다.
전체적으로 근육 약화로 생기는 요실금…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나타나는 질환이지만, 케겔 운동과 수술로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케겔 운동만 해도 좋아지는 경우가 대다수 입니다. 민망해서 혼자 참았다가는 더 심해질 수 있으니, 초반에 의사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본 포스팅이 기침했는데 소변이 나와 걱정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